자원(Resource)
랜드(프로퍼티)에서 발생하는 자원은 멘타르 또는 탐사용 싸이-드로이드가 탐지하고, 클레임(레이딩)하여 획득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
랜드(프로퍼티)에서 발생하는 자원은 멘타르 또는 탐사용 싸이-드로이드가 탐지하고, 클레임(레이딩)하여 획득할 수 있습니다.
Last updated
어스2에는 현재 32가지 자원이 있으며, 9개 등급(DT: Discovery Tier)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또한, 프로퍼티마다 발생빈도가 5등급으로 구분될 예정입니다. 현재는, HF(High-Frequency)와 UF(Unknown-Frequency)로만 구분되어 있습니다.
HF는 Copious(매우 풍부)로 지정된 곳이며, UF는 향후 Deficient(부족), Spars(희소), Moderate(보통), Rich(풍부) 중 하나로 지정될 예정입니다. 🔗
또한, 자원은 고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재활용이나 다양한 재사용 방법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T1/T2/T3랜드에서 모두 자원이 발생은 하지만, T3랜드는 자원을 채굴할 수 없기 때문에 랜드 업그레이드가 필요합니다.
획득된 OU데이터는 위버를 통해 원자재로 바꿀 수 있으며, 이후 에코심빌딩과 기술을 통해 다양한 빌딩블록으로 가공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OU/원자재/빌딩블록은 저장 공간이 필요한 아이템이며, 저장공간을 제공해 주는 홀로빌딩이 필요합니다.
해당 내용은, 2023년 6월 18일에 공개된, 어스2 뉴스("위버, 탐사용 싸이-드로이드, 그리고 자원")편을 참고한 것입니다.
2021년
2/23 블루닷 해프닝
5/21 자원 탭(8종 자원) 표시
8/7 에테르, 에센스 발생(모든 것이 '자원')
2022년
5/20~ 7/20 자원(5종) 공개 : 금/오일/철광석/석탄/석회석
7/14~10/17 자원 검증(1차) : 금/오일/철광석/석탄/석회석
8/6 자원빈도 구분(HF, UF)
2023년
4/14 자원 검증(2차) : 27개 자원
7/5~8/23 물/모래/나무 자원 소급 이벤트
7/15~12/21 자원(32개) 공개
2024년
4/9 자원(OU) 채굴 시작
2021년 2월, 블루닷(Blue-dot) 해프닝이 있었습니다. 개발자 출신의 한 외국 유저(Dorkslayer)가 어스2에 숨겨진 블루닷 정보를 찾아내었고, 블루닷의 위치가 실제 지구의 자원 위치와 매우 유사하다는 풍문이 돌았던 적이 있습니다.
돌연 볼프강이 어스2를 떠났고, 2022년 3월에 쉐인은 디스코드에서 개발자들이 유저들과 직접 소통하는 문제에 대해 불평을 내놓았습니다. 🔗
볼프강의 "현실 지구의 자원 위치가 그대로 반영될 것"이라는 약속한 것에 대한 간접적인 불만의 표시였고, 이러한 약속은 이행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를 했던 것으로 판단됩니다.
2022-05-20. 금/오일 자원이 처음 오픈되고, 곧이어 철광석(6/10), 석탄(6/24), 석회석(7/20) 자원이 어스2팀에 의해 자동으로 배정되었습니다.
금(Gold) 자원이 오픈되면서, 어스2의 일방적인 자원 배치에 유저들이 큰 반발을 일으켰는데, 그 시발점이 바로 서울 한복판에 금 자원이 배치된 것이었습니다.
어스2는 자원 배치에 대한 이유를 설명했지만, 유저들은 받아들이지 못했습니다.
결국, 어스2는 PRV(자원검증) 시스템을 출시합니다. 이 시스템은 '자원위치'를 유저들이 직접 탐색/증빙을 하고, 다른 유저들에게 검증받는 시스템입니다.
E2 PRV(Earth 2 Player Resource Validation)을 통해, 어스2에서 자원 위치를 유저가 직접 탐색하여 근거를 통해 주장(Claim)하고, 다른 유저들이 직접 검증에 참여하여, CA팀(CAT; Claims Approval Team)이 최종 승인하게 됩니다.
유저들은 검증하는 과정에 에센스를 스테이킹하여, 승인(Approve)되면 보상을 받고 거절(Reject)되면 일부 에센스를 잃게 됩니다. 이는, 검증에 책임감을 가지고 참여하라는 의도입니다.
CA팀에서 검증이 완료된 대상을 최종 승인하면, 해당 지역의 자원-빈도가 결정됩니다.
클레임한 자신의 랜드가 자원지로 승인받기 위해서는 2가지가 검증되어야 합니다.
랜드위치와 '광산위치'의 일치 여부
랜드위치는 어스2에서 제공하는 경위도 좌표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산위치'에 대한 경위도 좌표의 오차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가 필요합니다.
5 km반경에 대한 오해
어스2는 자원검증이 거절되는 기준을 공개한 적이 있는데, 해당 기준에서 5 km반경을 넘어서는 경우 거절(reject)된다는 문구를 넣었습니다.
이로 인해, 5 km반경 안쪽이면 승인이 된다는 오해를 불러 일으키기도 했습니다. 커뮤니티 매니저(CM)는 예시일 뿐 기준이 아니라는 답변을 하기도 했습니다.
추가적인 정보는 어스2에서 쉽게 확보할 수 있는데, '위성사진' 자료 또는 '지도정보'(광산 이름)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래 예시는 '니제르 우라늄 광산'입니다.)
해당 광물이 어스2 광물-자원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는 지 여부
어스2에서는 자원마다 인정되는 광물 이름을 리스트로 제공하였습니다. 리스트에 있는 광물이 광산에서 채굴이 된다는 정보가 있다면, 해당 자원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어스2 광물-자원 리스트는 자원 검색시트를 활용하세요.
광물(Mineral) vs 자원(Resource)
자원은 원소기호를 뜻하며, 자연계에는 원소 형태로 존재하지 않고 다양한 원소가 결합된 '광물' 형태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자원에 관한 정보는 사실상 광물에 대한 정보라는 것을 이해하셔도 무방합니다.
마인닷 광물정보
전 세계의 광물학자, 지질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기여하는 오픈 커뮤니티 기반의 프로젝트이며, 어스2에서 인정하는 자료입니다.
USGS 광물정보
미국 지질조사국(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이 관리하고 운영하는 웹사이트이며, 어스2에서 인정하는 자료입니다.
2022-07-14. E2 PRV 시스템이 오픈하였고, 에센스를 스테이킹하여 검증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에센스의 첫 유틸리티입니다.)
승인되면 스테이킹한 에센스를 돌려받고 추가로 100%를 얻게 되며, 거절되면 스테이킹한 에센스 전부(100%)를 잃는 방식이었습니다.
보상시스템은 합리적이었지만, 시스템이 몇 주 운영되면서 거절되는 케이스가 거의 없다는 것이 알려지자, 유저들은 에센스 보유량을 대폭 늘리는 기회로 받아들이기 시작하였습니다.
검증에 참여한다는 목적은 퇴색되었고, '에센스 벌기'에 많은 유저들이 매몰되었습니다. Bot(매크로) 활동에 대한 의심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의심 계정이 동결되는 사태(8/19)까지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
에센스 스테이킹 과열을 막고자, 어스2는 보상을 절반으로 줄였습니다.(100% → 50%) 하지만, 열기는 그리 쉽게 사그라지지 않았습니다.
2023-04-14. 약 6개월만에 E2 PRV시스템이 다시 오픈하였고, 보상을 6.5 %로 대폭 낮추었습니다. 2022년의 스테이킹 열풍은 더이상 찾아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보상에 비해, 손실 위험이 너무 크다는 유저들의 항의가 계속되었고, 2023-08-09일부터 어스2는 손실을 대폭 줄였습니다.(100% → 20%)
자원은 랜드(타일마다) 발생하며, 멘타르와 탐사용 싸이-드로이드로 채굴할 수 있습니다. 채굴된 자원은 OU형태로 홀로빌딩에 저장됩니다.
자원채굴은 2가지 방법으로 가능합니다.
자원에 매칭된 탐사용 싸이-드로이드 배치(Assigned)
자원과 관련된, 프라임 쥬얼과 탐사용 싸이-드로이드 정도는 아래 인포그래픽 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레벨1 자원인 오일(Oil)을 예시로 설명한 자료입니다.
다른 종류의 자원에 모두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한 검증이 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적용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멘타르에 오일(Oil) 자원에 매칭된 프라임 쥬얼(Black)을 슬롯팅하면, 멘타르는 자원을 채굴할 수 있습니다. 채굴된 자원은 홀로빌딩에 저장됩니다.
해당 프로퍼티의 멘타르가 가진 오일의 채굴능력은 1일 56.87 OU입니다. 최대 채굴량(879 OU) 대비 6.47%의 채굴능력(%)을 가진 것입니다.
여기에 오일(Oil) 자원을 채굴할 수 있는 탐사용 싸이-드로이드(Gileumbo)를 배정(Assign)을 하면, 채굴능력이 1일 231.18 OU로 상승합니다.
최대 채굴량(879 OU) 대비 26.3%의 채굴능력(%)으로 대폭 상승합니다. 탐사용 싸이-드로이드가 멘타르보다 대략 3배정도 채굴능력(%)이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채굴능력(%)을 높히기 위해 쥬얼을 슬롯팅한다면, 채굴능력이 좋은 탐사용 싸이-드로이드에 우선 배치하는 것이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된 내용이 없어, 유저들과 CM(커뮤니티 매니저)가 밝힌 내용을 토대로 작성한 것입니다.
자원은 랜드에서 (비물질)상태의 자원으로 존재하게 됩니다. 이 때의 부피는 (1,000,000 OU = 100 ㎥)의 관계를 갖습니다. [Resource Balance]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랜드에 있던 (비물질)자원은 멘타르 또는 탐사용 싸이-드로이드가 채굴하여 저장되는데, (비물질)자원이 (물질)자원으로 바뀌게 됩니다.
그러면서 부피는 1/100로 응축됩니다. 즉, (10,000 OU = 100 ㎥)의 관계를 갖습니다. [Land Resource]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채굴과정에서 1/100로 응축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유저들 사이에서는 제조하고 가공하는 과정에서 1/100씩 응축되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러한 규칙성을 따른다면, 원자재(Raw Material)은 (100 OU = 100 ㎥), 원자재를 가공한 빌딩블록(Building Block)은 (1 OU = 100 ㎥)로 점점 응축되는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습니다.
자원-빈도는 총 5등급(매우풍부 ▶ 풍부 ▶ 보통 ▶ 희소 ▶ 부족)으로 구분됩니다. 프로퍼티는 5등급 중 하나로 결정되지만, 개별 타일에서는 '빈도없음'으로 지정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만약 자신의 프로퍼티가 '매우풍부' 등급을 받았다면, 모든 개별 타일이 '매우풍부' 등급을 받았다는 것이 아니라, 대다수 타일이 '매우풍부'를 받지만, 일부 타일은 그보다 낮은 등급을 받거나 '빈도없음'을 받을 수도 있다는 의미입니다. 🔗
2024-04-09. 자원검증을 받은 프로퍼티는 자원빈도를 부여 받았고, HF(High-Frequency)는 ' 매우풍부'로, UF(Unknown-Frequency)는 향후 '풍부/보통/희소/부족' 중 하나로 지정되었습니다.
자원 등급(DT; Discovery TIer)은 총 9등급이며, 자원 채굴 난이도(또는 희귀성 등)을 나타내는 지표와 유사한 개념입니다.
D1~D6까지는 T1/T2랜드에서 모두 채굴이 가능하며, D7~D9은 T1랜드에서만 채굴이 가능합니다. (T3랜드는 채굴이 불가능합니다.)
또한, 멘타르는 D1~D6까지 채굴할 수 있으며(Zirconium 제외), 탐사용싸이-드로이드는 D1~D9 전부 채굴할 수 있습니다.
자원을 원자재와 빌딩블록으로 제조하면, 바자르를 통해 물건을 팔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쥬얼과 달리, 돈만 내면 자동으로 (판매자 인벤토리 → 구매자 인벤토리)로 이동되지 않습니다.
어스2는 물류(Logistics)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제로 원자재와 빌딩블록을 운송차량에 싣고, 배달하는 방식이 될 것입니다.
싸이-드로이드와 시빌리언의 경우, 텔레포트 기능을 이용하여 물류시스템이 없는 상황에서도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해 놓았습니다.
자원도 출시 초기에는 텔레포트 기능을 이용하여, 원자재와 빌딩블록을 옮길 수 있지 않을까 예상해 봅니다.
향후에는, 운송을 전문적으로 하는 유저들이 나오고, 쉐인이 유튜브를 통해 말했듯이, 배송비를 내고 위탁하는 방식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개발자 브이로그(5화)에서, 운송수단에 대한 내용이 나옵니다. 운송용량, 운송거리, 속도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최적의 운송방법을 채택해야 할 것입니다.
2022년, 개발자 브이로그(유튜브)를 통해 공개된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또한, 빌딩블록 이미지는 'ANNO 1800' 게임의 자원이미지를 활용하였습니다.
랜드에서 매일마다 발생하는 자원(비물질상태)은 멘타르 또는 탐사용 싸이-드로이드를 통해 OU를 얻을 수 있습니다.
원자재는 물질상태이기 때문에, 바자르를 통해 P2P거래를 할 수 있으며, 스킨을 테일러링(색깔, 재질을 변경)에 사용됩니다.
물질상태인 원자재는 홀로빌딩에 저장되며, 운송수단을 통해 홀로빌딩으로 배송됩니다. 에코심빌딩은 기술을 습득하여, 원자재를 다양한 빌딩블록으로 가공할 수 있습니다.
빌딩블록은 물질상태이기 때문에, 바자르를 통해 P2P거래를 할 수 있으며, 건축물을 짓는 재료로 사용됩니다.
T1/T2 프로퍼티에서는 발생빈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채굴량이 결정됩니다. 멘타르에 쥬얼을 끼워, 쥬얼 슬롯팅 효과를 통해 자원 발생량을 늘릴 수 있습니다.
또는, 를 제작하여 멘타르보다 훨씬 많은 자원을 채굴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채굴한다는 의미는 OU데이터를 획득한다는 의미입니다.
2021년 여름, 은 유저들과 디스코드 AMA(Ask Me Anything)를 진행하면서, 자원은 현실 지구의 자원 위치를 반영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멘타르에 슬롯팅
과 을 통해, 원자재(Raw Material)를 다양한 빌딩블록으로 가공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얻어낸 OU를, 멘타르 내부에 설치된 를 통해 원자재(물질상태)로 복제(제작)할 수 있습니다.
'자원→원자재'로 복제(제작)하기 위해서는 자원에 매칭되는 을 위버에 (슬롯팅)해야 합니다.
자원(등급, 채굴랜드 티어, 멘타르 채굴가능 여부), , , 빌딩블록(Building Block), 광물(Ore)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