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드(LAND)
랜드(Land)를 구입하여 프로퍼티(Property)를 소유할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는 어스2가 시작이자, 어스2의 모든 자원(쥬얼, 에테르 포함)을 생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Last updated
랜드(Land)를 구입하여 프로퍼티(Property)를 소유할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는 어스2가 시작이자, 어스2의 모든 자원(쥬얼, 에테르 포함)을 생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Last updated
T1과 T2랜드의 공급은 2.5억개로 제한되며, 그 중 2.25억개는 새로운 랜드로 직접 구입할 수 있고, T3랜드를 T2랜드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도록 나머지 0.25억개(10%)가 배정되어 있습니다.
T3랜드는 무제한으로 공급됩니다.
어스2를 하다 보면, 많이 나오는 용어입니다. 하지만, 의미에 맞지 않게 혼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타일(Tile)은 어스2가 격자로 나누어 판매한 '가상부동산'의 최소 단위입니다.
프로퍼티(Property)는 플레이어(어스2 계정이 있는 유저)가 소유한 랜드를 말합니다. 1~750타일까지 가능합니다. 추가적으로, 플레이어가 소유한 전체 프로퍼티를 통칭하여, 포트폴리오(Portfolio)라고 합니다.
랜드(Land)는 어스2의 가상부동산(땅) 전체를 가리키며, [소유자가 없는 땅]과 프로퍼티[소유자가 있는 땅] 전부를 아우르는 용어입니다.
T1(EDC)은 약속받은 에센스가 저장되어 있는 프로퍼티를 의미합니다.
2021년 12월 4일, 어스2는 T1랜드를 보유한 유저들에 대한 보상으로 에어드롭(251,740,785 에센스)을 실시합니다.
랜드가격을 기준으로, 1 E$ = 1 에센스로 환산하여 에어드롭이 시행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 랜드단가가 64 E$였고, 10타일 규모의 프로퍼티 1개를 가지고 있다면, 그 유저는 640에센스를 에어드롭으로 받게 되는 것입니다.
20%는 즉시 지급되었고, 나머지 80%는 T1랜드에 저장해 두었습니다. 이렇게 저장된 에센스를 EDC(Essence Distribution Commitment), '약속받은 에센스'라고 합니다. 🔗
따라서, 'T1(EDC)'라고 하면, 'T1랜드의 약속받은 에센스가 아직 남아있구나'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T1(고갈)은 약속받은 에센스(EDC)가 모두 소진된 것을 의미합니다.
EDC가 있는 프로퍼티에서 에테르를 클레임하고 에센스로 변환하면, 변환된 에센스만큼 삭감됩니다. 랜드가격이 낮은 곳부터 EDC가 소진되기 시작했는데, 이렇게 EDC가 0(소진)된 상태를 '고갈'되었다고 합니다.
따라서, 'T1(고갈)' 이라고 하면, 'T1랜드의 약속받은 에센스가 모두 소진되었구나'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에테르를 에센스로 변환하지 않고, 에테르를 사용하면 EDC가 삭감되지 않습니다.
2020년
11/1 T1랜드 오픈
2021년
12/4 T1랜드 오픈 중단
12/5 T2랜드 오픈
2022년
2/11~10/31 동결국(33국) 오픈
5/10 프로퍼티 개별 국기 설정기능 오픈
6/2 T1/T2랜드 합산 '1억 타일' 판매
12/23 랜드 선물기능 오픈
2023년
4/3~8/1 T1랜드 재오픈 (레드에너지 사용)
11/19 랜드 분할구입 기능 오픈
11/20 T3랜드 오픈
2024년
6/25 랜드 티어 업그레이드 기능 오픈
MTP(Market Trade Price) : 이미 소유한 랜드를, 마켓/입찰을 통해 거래된 가격
NLP(New Land Price) : 아무도 소유하지 않는 랜드를, 구입할 때 매겨진 가격
랜드의 가격은 2가지로 결정됩니다. 바로, MTP와 NLP입니다.
어스2는 워낙 많은 랜드(4.4조 타일)가 있기 때문에, 마켓 거래보다는 새로운 랜드가 구입되는 경우가 압도적입니다.
하지만, 랜드개수가 굉장히 적은 곳(예, 바티칸시티, 모나코 등)은 더이상 새로운 랜드가 없고, 동결국(Locked Country)의 경우 신규 랜드를 구입할 수 없기 때문에, 마켓 거래로만 가격이 결정됩니다.
Pump & Dump
어스2 초기(2020~2021년)에는, 가격이 급등하는 '펌핑'현상과 반대로 가격이 급락하는 '덤핑'현상이 많이 벌어졌습니다.
보통은 자전거래(주계정 ↔ 부계정)를 통해, #Country페이지 상단에 노출시켜 해당 국가를 이슈화시키고, 사람들이 구입하도록 유도하여 LIT를 버는 수법입니다.
현재는 펌핑/덤핑되더라도 가격이 회복되는 시스템으로 보완하여 이러한 펌핑/덤핑 현상이 그리 오래 유지되지는 않습니다.
랜드가격은 최초 E$ 0.1에서 시작하여, 판매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가격이 증가하는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빨리 살수록 싸게 살 수 있는 매커니즘이며, 국가마다 가격이 독립적으로 움직입니다. 다만, UAE의 경우 한 국가로 가격 매커니즘이 적용되지 않고, 7개 토후국이 별도로 랜드가격이 매겨지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었습니다.
또한, T1랜드만 구입할 수 있었던 초창기, 바다(특정 국가의 영토가 아닌 지역)의 경우 최소(시작)가격이 E$ 0.01 였습니다. 하지만, T2랜드가 오픈(2021-12-05)한 뒤로, 모든 시작(최소)가격이 E$ 0.1로 예외없이 통일되었습니다.
T2랜드(2021. 12. 5. 오픈), T3랜드(2023. 11. 20. 오픈)도 T1랜드와 마찬가지로, 최초 E$ 0.1에서 시작하여 판매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가격이 증가하는 매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T1랜드 가격공식에 있던 100,000이라는 수치가 T2, T3랜드 가격공식에는 150,000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공식이 바뀌면서, 랜드가격 상승속도가 50% 감소하는 효과가 발생하였고, T1랜드보다 더 싼 값에 많은 랜드를 소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어스2 #Country 페이지의 T1/T2/T3랜드 거래가격과 판매량 데이터를 수집하고 정리한 것입니다. 2024-06-22일까지 수집된 '과거' 데이터입니다.
2024-06-22 이후의 데이터는 #country페이지 데이터가 제대로 업데이트되지 않고 있어, 더이상 수집하지 않고 있습니다.
어스2에 가입하여 로그인하면, 어스2에서 직접 제공하는 '국가별' 랜드 가격 및 판매량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어스2는 현실 지구를 복제한 컨셉으로 등장한 가상부동산 플랫폼이며, 1랜드 면적을 100㎡ (= 10m ✕ 10m)으로 지정하였습니다.
이를 근거로, 어스2 홈페이지에는 5.1조 타일이 있다고 얘기했으며,(지금은 삭제됨) 개발진과 어스2에 참여한 많은 인사들도 어스2의 랜드 개수를 5.1조 타일로 알고 있었습니다. 🔗
어스2는 Mapbox 지도이며, 가로/세로 길이가 똑같은 ‘정사각형’ 모양의 지구입니다. 랜드 개수를 세기 위해, 랜드마다 지정되어 있는 Block ID를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 Block ID : 랜드 하나하나를 넘버링한 고유ID이며, 맨뒤에 숫자 '21'을 붙여 놓은 형식임.
Block ID를 기준으로, 가로/세로는 각각 2,097,152 타일입니다. 전체 면적을 계산하면, 4,398,046,511,104 타일임을 알 수 있습니다. 약 4.4조 타일이 있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초창기 어스2가 런칭하면서, 1랜드를 100㎡ (= 10m ✕10m) 크기로 정의했습니다. 하지만, 2022년 8월 유튜브 영상을 통해, E2V1(3D 어스2 버전1)에서는 랜드 크기가 변경될 것이라는 사실을 알렸습니다.
실제 지구의 적도 둘레(약 4만 km)를 랜드 개수(2,097,152 타일)로 나눈 값으로 재정의 하였습니다. 이제, 1랜드는 364㎡ (=19.08m ✕ 19.08m) 크기가 되며, 기존보다 약 3.6배 커지게 됩니다.
어스2의 T1 프로퍼티는 판매구간에 따라 클래스(Class)가 자동 지정됩니다.
1클래스 (C1) : 0 ~ 100,000 타일이 팔릴 때까지의 프로퍼티에 지정
2클래스 (C2) : 100,000 ~ 300,000 타일이 팔릴 때까지의 프로퍼티에 지정
3클래스 (C3) : 300,000 ~ 600,000 타일이 팔릴 때까지의 프로퍼티에 지정
4클래스 (C4) : 600,000 이상의 타일이 팔린 프로퍼티에 지정
5클래스 (C5) : 아직 지정된 바가 없음
2021-04-02. 일부 부적합한 방식으로 구입된 랜드 일부를 취소되었고, 2주 뒤 2021-04-23. 미국에서 첫 클래스(C4)가 지정되었습니다.
4클래스(C4)로 지정된 프로퍼티는 T1랜드임에도 불구하고 LIT를 받지 못합니다. 또한, 자원 채굴량에서 클래스의 영향을 받는다는 내용의 어스2 뉴스가 있었지만, 아직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 정확한 내용은 알 수 없습니다. 🔗
어스2 랜드는 T1/T2/T3, 총 3개의 티어가 있습니다. 최초, T1랜드가 오픈하고, 뒤이어 T2랜드가 오픈하였습니다.
2023년에는 '레드에너지'가 등장하면서, T1랜드를 한시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특전(perk)이 주어지기도 했습니다. 2023년 말, 마지막 랜드 티어인 T3랜드가 오픈하였습니다.
T3랜드가 유독 'X'표시가 많은 것은 멘타르가 없기 때문입니다. 멘타르만이 프로퍼티에서 발생하는 쥬얼과 자원(에테르 포함)을 탐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T1랜드는 EPL을 등록하고 수정할 수 있으며, 이 기능만으로도 T1랜드는 엄청난 가치를 가지게 됩니다.
광고의 경우, T3랜드는 상당히 제한적이지만, 불가능한 것은 아닙니다.
또한, '브로드캐스팅'은 자원(OU)가 필요하며, 'LOBBY'는 '브로드캐스팅'이 설치되어 있어야 광고를 할 수 있습니다.
2024-06-25. (한국시간 22시경) 랜드 티어 업그레이드 기능이 오픈하였습니다.
당시 에센스 외부거래가격이 매우 낮아(0.09$) 업그레이드는 주로 높은 등급의 자원지(D7~D9), 동결국(T1가격이 T2가격보다 낮은 국가)을 위주로 유저들의 참여가 많았습니다.
랜드 업그레이드는 T3 → T2 → T1으로 단계적으로 업그레이드가 가능하며, T3 → T1으로 바로 업그레이드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다운그레이드(T1 → T2 → T3)는 불가능합니다.
또한, 쿨다운 시스템을 적용하여, 랜드 업그레이드 오픈이후 48시간 동안은 '봇(Bot)' 사용을 방지하기 위해, 랜드 업그레이드를 시행하면 5분동안 동일 국가에서 랜드 업그레이드가 불가능하도록 설정되었습니다. 🔗
슬리피지 1% 적용
랜드 업그레이드가 급작스럽게 많이 이뤄져 기존 랜드의 가격이 1%이상 상승하면, 랜드 업그레이드를 참여한 일부 유저의 업그레이드가 실패할 수 있습니다.
랜드 티어 업그레이드는 에센스와 에너지(레드, 옐로우, 그린, 블루)가 소모되며, 제한 사항과 특전(Perk)이 있습니다.
T3 → T2 업그레이드
0.25억 개(2,500만 개)까지 업그레이드가 제한되어 있습니다.
T2 → T1 업그레이드
업그레이드 과정에서 클래스가 결정되며, 선착순으로 국가별로 125,000타일까지는 '스페셜 T1'랜드로 지정되어 에테르 발생율(%) 증가 특전(T2 대비 5배)을 받게 됩니다.
'스페셜 T1'이 아니더라도, '기본T1'는 T2랜드에 비해 3배의 에테르발생율(%)을 얻게 됩니다. 즉, '스페셜 T1'의 특전은 66.7%가 추가로 증가되는 것입니다.
랜드 티어 업그레이드 방법은 총 5가지가 있으며, 각 방식마다 25,000타일까지는 '스페셜 T1'랜드로 업그레이드됩니다.
ESS
2024-06-25
ESS + RE
2024-06-25
1 ESS = 15 RE
ESS + YE
(예정)
(미정)
ESS + BE
(예정)
(미정)
ESS + GE
(예정)
(미정)
랜드 (티어)를 업그레이드하는 데 필요한 에센스 또는 에너지의 양은 변동될 수 있으며, 2가지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해당 국가 또는 영토 내 랜드에 대한 인기 또는 수요가 반영된, 신규랜드가격(NLP: New Land Price)
에센스의 외부 거래가격
랜드의 티어 업그레이드는 에센스로 이루어집니다. 또한, 에너지를 소모시켜 에센스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T3 → T2 업그레이드의 경우, 티어간 NLP(신규랜드가격)이 E$ 1.5가 차이나며, 100타일짜리 프로퍼티에 E$ 150 금액의 에센스가 소모됩니다.
만약, 에센스의 외부거래가격이 (1 ESS = 1 $)라면, 에센스는 150개가 필요하게 되며, (1 ESS = 0.1 $)라면, 에센스는 1,500개가 필요하게 됩니다.
업그레이드된 랜드는 해당 랜드 티어의 전체개수에 영향을 주어, NLP(신규랜드가격)을 상승시킵니다.
T1보다 T2의 NLP(신규랜드가격)이 높은 경우, 무료로 업그레이드되지 않고, 고정된 양(타일당 0.1 에센스)가 필요합니다.
T2보다 T3의 NLP(신규랜드가격)이 높은 경우, 무료로 업그레이드되지 않고, 고정된 양(타일당 0.03 에센스)가 필요합니다.
랜드 (티어) 업그레이드 시스템에는 T2랜드 소유자를 위한 ‘스페셜 캠페인’이 있습니다.
각 개별 국가마다, T2 → T1랜드로 업그레이드한 125,000타일은 영구적으로 부스트된 에테르 생성률(%)을 받게 되며, 스페셜 T1랜드가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어스2에는 256개 개별 국가가 있으며, 3,200만 타일 규모의 랜드가 '스페셜 T1'랜드로 배정되어 있습니다. (125,000타일/국 ✖ 256개국 = 32,000,000 타일)
'스페셜 T1'랜드에서 부스트된 에테르 생성률(%)은 기본 에테르 생성률(=T2 에테르 생성률(%))의 5배입니다. 이는 T1(고갈)보다 높지만, T1(EDC)보다는 낮은 수치입니다.
스페셜 T1랜드의 잔여량을 꼭 확인하고 업그레이드를 진행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만약 스페셜 T1랜드가 500타일밖에 남지 않았는데, 750타일짜리 랜드(프로퍼티)를 업그레이드하면, '스페셜 T1'으로 업그레이드되지 않고 '기본T1'으로 업그레이드됩니다.
업그레이드 비용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2가지 정보가 필요합니다. 2가지 가격이 변동하면서 실시간으로 업그레이드 비용이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됩니다.
NLP(New Land Price; 신규타일가격)
에센스 가격(외부 거래가격)
또한, 일부 에센스 비용을 에너지로 지불할 수 있습니다.
T2 → T1 업그레이드 : 30% 상한
T3 → T2 업그레이드 : 60% 상한
T2 → T1 업그레이드
[T2 → T1 업그레이드]를 통해, 크게 5가지 효과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EPL 설치
발생율(%) 증가 : 쥬얼, 자원, 에테르, 에테르 부스트
쥬얼 슬롯팅 개수 증가 : 3칸 → 5~12칸
7~9티어 자원(OU) 채굴
T3 투표권 2배 증가
해당 국가의 T1랜드와 T2랜드 NLP 차액이 크레딧(E$) 기준으로 측정되고, 에센스의 외부 거래가격에 따라 필요한 에센스가 산출됩니다.
특히, 스페셜 T1랜드를 얻기 위한 5가지 업그레이드 방식마다 25,000타일 제한을 두었습니다.
예를 들어, 옐로우 에너지 1개만 있어도 '에센스 + 옐로우에너지' 조합으로 '스페셜 T1'랜드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특정에너지를 소유하는 것만으로도 '스페셜 T1'랜드 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T3 → T2 업그레이드
[T3 → T2 업그레이드]를 통해, 크게 7가지 효과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발생 : 쥬얼, 자원, 에테르, 에테르 부스트
쥬얼 슬롯팅(3칸)
1~6티어 자원(OU) 채굴
시빌리언 생성
싸이-드로이드 제작
T3 투표권
에코심 빌딩(연구소 등)
소모되는 에센스의 60%까지 에너지로 충당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를 많이 가진 유저에게 상당한 비용절감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보입니다.
[T2 → T1 업그레이드]가 갑자기 많이 이뤄지는 곳에서는 T2랜드의 NLP가 급락할 수 있어, 이러한 가격변동을 노리는 전략도 유효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LIT(Land Income Tax)는 '토지수익금' 정도가 적당한 번역일 것 같습니다.
T1 프로퍼티 소유자만 얻는 수익이며, 자신이 가진 프로퍼티와 동일한 국가의 '신규' 랜드(이미 판매된 랜드가 재판매되는 경우는 아님)이 판매되면, 판매 수익의 일부가 T1랜드 소유주에게 분배됩니다. 이를 LIT라고 합니다.
LIT는 T1랜드 클래스에 따라 차등 배분되며, 1클래스 > 2클래스 > 3클래스 순으로 차등됩니다.
4클래스 프로퍼티는 LIT를 받지 못합니다.
T2랜드가 오픈(2021. 12. 5.)되고 T2랜드 판매되면서, LIT수익이 절반 이하로 떨어졌습니다. (판매금액의 5% → 2% 수준으로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파악됩니다.)
또한, 2023년 11월, 쉐인은 에센스가 상장하면 LIT 시스템을 제거할 거라고 말했습니다. 🔗
쉐인의 이러한 정책때문인지,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지만, T3랜드가 오픈(2023. 12. 20.)되고 LIT 수입이 거의 없어졌습니다. T3랜드 판매수익이 더이상 LIT로 분배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메인 프로퍼티 : 자신이 가지고 있는 프로퍼티 중 하나를 메인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메인 프로퍼티는 자신의 프로필(#Profile) 페이지 맨 상단에 표시가 됩니다.
국기 : 기본적으로, 셋팅(#Settings) 페이지에서 선택한 국기가 표기됩니다. 하지만, 프로퍼티마다 개별적으로 국기 설정이 가능하며, 향후 길드/메가시티 플래그(Flag)도 가능할 예정입니다.
프로퍼티명 : 총 200자(숫자, 영문 소/대문자, 한글, 기호, 이모지 등)까지 가능하며, 언제든 수시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프로퍼티 티어 : 랜드 업그레이드 기능을 통해, 티어를 T3 → T2 → T1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마켓 판매등록 : 프로퍼티를 마켓플레이스에 등록하면, 'for sale'과 함께 판매가격이 표시됩니다.
※ 약속받은 에센스는 에센스 에어드랍 이벤트(2021. 12. 4.)로 T1랜드에 지급된 에센스입니다. 당시 T1랜드 가격(1E$ = 1 에센스)만큼 지급되었고, 이 중 20%는 즉시 지급, 80%는 'Essence waiting claim'으로 프로퍼티에 저장되었습니다. 🔗
국기는 개별 프로퍼티마다 다르게 지정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되었으며, 이는 타일아트를 하는 유저들에게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전에는 계정마다 국기를 설정할 수 있었기 때문에, 타일아트를 하려면 여러 개의 계정이 필요했습니다.
2022-02-10. 동결국(Locked Countries) 리스트를 공개하였습니다. 대부분 속령(자치령)인 곳이며, 실질적으로 우리가 국가라 부를만한 곳은 4곳(사우디아라비아, 파라과이, 투르크메니스탄, 알제리)입니다.
동결국으로 지정된 국가의 랜드를 구입하려고 [BUY]버튼을 누르면, 이런 문구가 뜹니다.
"지금은 구입할 수 없다. 다만, 어스2 웹페이지 또는 커뮤니티(디스코드 등)를 통해 오픈 일정을 예고하겠다"는 내용입니다.
2022-02-11 ~ 2022-10-31 까지 약 8개월 동안 33개국이 오픈하였고, 5개국이 미오픈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2/11
2/18
2/18
2/24
3/2
3/9
3/15
3/22
3/30
4/5
4/5
4/5
4/8
4/19
4/22
5/4
5/12
5/20
5/20
6/2
7/12
7/18
7/25
8/1
8/8
8/16
8/23
8/29
9/5
9/12
9/13
9/19
10/31
미오픈 동결국(T1랜드)
어스2 랜드 1 ~ 750타일 규모로 구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스2 초창기(2020년 11월)에 랜드 구입 버그가 있었고, 1,000타일이 넘는 규모의 프로퍼티도 간혹 볼 수 있습니다.
도로는 많은 유저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부분입니다. 어스2 초기 메가시티들은 도로를 위한 별도의 랜드를 배치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보통 1차선 폭이 3.5 m이기 때문에, 왕복 2차선 도로의 경우 7 m가 필요합니다. 랜드 1개의 크기는 (10 m × 10 m)였기 때문에, 1타일 폭으로 도로를 배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습니다.
하지만, 2022년에 랜드-개수와 크기 변경이 이뤄지면서, 1타일 크기가 거의 2배 가까이 커졌습니다.
여기에 더하여, 홀로빌딩 가장자리를 배치할 수 없도록 강제로 제한하였습니다. 즉, 가장자리 부분에는 홀로빌딩을 지을 수 없게 조치한 것입니다.
제한구역의 폭은 1.2 m이며, 반대편 유저의 제한구역과 합하면, 약 2.4 m의 유휴공간이 생깁니다.
일반적으로, 1차선 폭이 3.5 m임을 감안하면, 오토바이나 다마스같은 폭이 좁은 차량이 움직일 수 있는 공간입니다. 가장 작은 차량이 움직일 수 있는 도로폭으로 설계한 것으로 보입니다.
E2V1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면서, 도로를 달리는 차량의 모습을 영상을 통해 공개하였는데, 돌아다니는 차량들이 전부 바퀴가 없다는 특징이 있었습니다.
'도로 = 물류'라는 컨셉을 가지고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즉, 자원 운송과 여객(시빌리언) 위주의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운영되는 방식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추가적으로, 바퀴가 있는 차량은 유저들이 직접 운전하는 차량으로 한정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2-12-17. E2V1 영상이 공개되면서, 주요 도시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장면이 나옵니다. 영국 런던의 모습을 보면, 빌딩/도로/수로/공항.. 모든 것이 사라진 상태입니다.
World is our oyster.
[번역] 모든 기회가 열려 있습니다. (출처 : https://youtu.be/kLjA8zY7tmE?si=7jSsHBc31dB4bN39)
어스2의 가장 핵심 컨셉이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지구의 모든 인공물은 지워질 것입니다. 운하, 댐, 인공섬까지 사라진다고 하였습니다. 🔗
DRONE 게임은 지형을 아주 쉽게 변형할 수 있는 에디터를 가지고 있고, 유저들에게 지형을 자기가 원하는 대로 변형할 수 있을 거라는 기대를 가지게 했습니다.
나타니엘은 디스코드 AMA를 진행하면서, 제한된 범위에서 높이 조절도 가능하며, 지형 변형이 가능할 것이라는 답변을 했습니다. 🔗
추가적으로, 쉐인은 자신의 트윗을 통해, 홀로빌딩을 지을 때 급경사지나 절벽 같은 지형은 피하여 구입할 것을 권고한 적이 있습니다. 🔗
지형 변형은 랜드 소유주에게 상당한 이점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따라서, 혜택을 받는 만큼, 그에 따른 비용도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절벽이나 경사가 심한 곳은 향후 건설비용이 추가될 수도 있고, 최악의 경우 아예 짓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같은 T1랜드이지만, 에센스 마크에 34.39라고 적힌 곳과 0.00이 적힌 곳이 있습니다. 이 두 프로퍼티의 차이를 알아 보겠습니다.
3/21 UAE(두바이 등 7개 토후국) 오픈
11/5 이스라엘 미공지 깜짝 오픈
11/26 이라크, 이란 오픈
일부 섬나라와 같이, 랜드 자체가 적은 곳은 랜드가격 공식이 다른 곳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버진 아일랜드의 경우, 다음과 같은 랜드공식을 가집니다.
Macao
Aruba
American Samoa
Virgin Islands
Sint Maarten
Guam
Curaçao
Saint Martin
Saint Barthélemy
French Guiana
Cocos (Keeling) Islands
Tokelau
French Polynesia
French Southern Territories
Kosovo
Saint Pierre and Miquelon
Guadeloupe
Bonaire
Sint Eustatius and Saba
Puerto Rico
Christmas Island
Åland Islands
New Caledonia
Svalbard and Jan Mayen
Northern Mariana Islands
Wallis and Futuna
Mayotte
Nauru
Bouvet Island
Martinique
Comoros
Reunion
Sao Tome and Principe
사우디아라비아, 파라과이, 투르크메니스탄, 알제리, 홍콩
[Phase3: 지형]을 담당했던 나타니엘(Nathaniel)은, 어스2의 DRONE의 창립 멤버 중 하나입니다. 뒤를 이어, 가 계속해서 E2V1의 지형 개발을 담당했는데, 그 역시 DRONE의 창립 멤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