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센스(ESS)
에센스는 ERC-20(이더리움) 유틸리티 토큰이며, 10억 개의 한정된 발행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에센스 토큰은 어스2 플랫폼에서 중요한 에너지원이자, 거버넌스(투표권) 입니다.
에센스 토큰(ERC-20)
에센스 토큰의 발행량, 소각량, 보관량, 유통량 수치는 최신 업데이트 일자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발행사
EARTH 2
분류
ERC-20
유통량
49,724,566
보관량[1]
245,841,938
소각량[2]
15,578,872
발행량[3]
311,145,376
(최대) 발행량
1,000,000,000
※ 보관량[1] : 어스2 관리지갑(EOA)의 총 에센스(ESS) 보관량 합계
어스2 관리지갑
어스2는 6개 지갑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메인 및 서브 지갑(EOA) 4개와 스마트 컨트랙트 지갑(CA) 2개입니다.
출처 (어스2 CEO 쉐인 트위터)
메인 지갑
어스2가 관리하는 계정(EOA; External Owned Accounts)이며, 에센스(ESS) 토큰 발행과 소각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출금(어스2→유저)과 입금(유저→어스2)이 가능한 지갑주소입니다.
0x68d332EC97800Aa1a112160195cc281978eC8Eea
스마트 컨트랙트-1 지갑
승인(Approve), 소각(Burn), 발행(Mint), 이체(Transfer), 이체위탁(Transferfrom) 함수를 가지고 있는, 클래식한 스마트 컨트랙트-1 계정(CA; Contract Accounts)입니다.
유저들에게는 거래소 및 개인 전자지갑(특히, 메타마스크)에서 에센스(ESS) 토큰을 찾아 [토큰 가져오기]를 실행할 때 사용됩니다.
0x2c0687215Aca7F5e2792d956E170325e92A02aCA
스마트 컨트랙트-2 지갑
대규모 이체(TransferBatch) 함수를 가지고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2 계정입니다. 어스2에서 유저들의 대규모 출금 처리를 위한 스마트 컨트랙트 계정입니다.
0x528a7d60dAf08A98e39220B1De6557be6afe9Bbb
테스트 지갑
2024-05-31. 어스2 인출시스템이 오픈하고, 다음날 출금(6/1)이 시작되기 전까지 메인 지갑(0x68d3...Eea)과 15차례 에센스를 주고 받았습니다.
2024-05-31. 이후의 거래는 없는 것으로 보아, 테스트용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현재는 약 179에센스가 잔액으로 남아 있습니다.
서브1 지갑
메인 지갑(0x68d3...Eea)에서 최초로 전송된 지갑주소이며, 서브2 지갑으로 에센스를 송금하였습니다.
2024-07-26. 1달간(6/26~7/25) 어스2 금고로 정산된 3,289,024에센스가 입금되었으며, 어스2 금고(Treasury) 지갑으로 추정됩니다.
서브2 지갑
서브1 지갑에서 50,000,000 에센스가 입금되었으며, 어떤 용도의 지갑인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서브1 지갑에서 송금된 에센스라는 점에서 어스2 금고(Treasury)에 배정된 에센스로 보이며, 3가지 정도의 사용처로 추정됩니다.
어스2 팀원+CM(커뮤니티 매니저)에게 배정된 에센스
옐로우에너지(YE)에 배정된 에센스 (1YE=0.2$의 에센스)
유동성풀로 배정된 에센스
소각 지갑
에센스 토큰 전용으로 사용하는 소각용 지갑주소는 아니며,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소각 지갑으로 주로 사용되는 주소입니다.
0x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2024-05-29
500
19976408
2024-05-29
500,000
19976453
2024-06-12
500,000
20077947
2024-06-30
12,257,101
20204551
2024-07-26
2,321,250
20391103
2024-06-30. 랜드 업그레이드 기능이 오픈하고, 첫 날 약 1,200만 개의 에센스가 사용되었습니다.
백서에는 50%는 완전 소각되고 50%는 어스2 금고(Treasury)로 옮겨지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어스2 CEO 쉐인은 이 날을 기념하며 전부(100%) 소각하고 싶다는 의견을 밝히며 전부 소각시켰습니다. 🔗
약 1,200만개를 전부소각시켰다고 밝혔지만, 600만개(50%)는 원래 소각될 에센스였고, 어스2 금고(Treasury)로 배분된 2.5억 에센스(25%) 중 약 600만개를 소각시켰다는 의미입니다.
2024-07-26. 1달간(6/26~7/25) 랜드 업그레이드에 사용된 에센스 토큰을 집계하여, 한 번에 소각을 진행하였습니다.
하지만, 7/26 이후에는 더이상 랜드 업그레이드 사용내역 공개 및 토큰 소각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거래소
유니스왑 (Uniswap V3: ESS 5)
유니스왑에 어스2 에센스 토큰이 상장(유동성풀 공급)이 된 것은 아닙니다. 다만, 가장 규모가 큰 유동성풀이 자생적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실시간 거래 모니터링
겍코 터미널
DEX 스크리너
에센스 출금 시스템
2024-08-15. 크레딧(E$)을 달러(USD)로 출금해주던 방식을 에센스 토큰으로 대신 지급하는 방식으로 (임시) 변경되었습니다.
위탁업체와의 문제, 글로벌 규제 변화의 영향, 그리고 법정화폐의 의존성을 줄이고자 임시(Trial) 출금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밝혔습니다. 🔗
출금을 신청하면, 어스2는 순차적으로 에센스를 배정하고, 에센스로 출금을 실행할 지를 최종적으로 확인을 받고 지급합니다.
2024-10-25. X(트위터)에 Earth2Explorer 유저가 올린 자료이며, [Confirm Conversion to $ESS] 버튼을 누를 경우, 출금이 실행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연기된 일정
어스2 세팅 페이지에는 Etherscan 링크가 있었습니다. 극초기(2020년)에는 랜드만 존재했기 때문에, 이더리움과 관련된 '랜드 NFT'에 대한 관심이 높았습니다.
2021-01-28, 에센스가 공식적으로 처음 언급이 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됩니다. 🔗
하지만, 에센스 토큰이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3월에 두바이 랜드오픈으로 한 차례 연기되더니, 4월에 쉐인은 공식적으로 에센스 출시를 연기한다는 발표를 합니다. 🔗
그렇게 시간이 흐르고, 우여곡절 끝에 8월에 (어스2 내부에서만 작동되는) 에센스가 출시하였습니다. 쉐인은 답변을 피했지만, 당시 유저들은 대부분 "에센스는 크립토(Crypto-currency)"라고 생각했습니다.
2022-02-23. 백서(초안)이 공개되면서, 유저들은 곧 에센스 토큰이 상장할 것으로 기대하였습니다. 이후, 공식 백서와 에센스 상장 소식을 기대했지만, 에센스 상장과 백서 공개 연기가 발표되었습니다. 🔗
모두들 당황했고, 많은 유저들이 어스2를 떠나기도 했습니다. 당시 프로퍼티를 매각하는 유저들이 많아, 마켓에는 굉장히 싼 프로퍼티가 판매되기도 했습니다.
2022-11-10. 쉐인은 긴 트윗을 올리며, 에센스 상장을 연기했던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습니다.
크립토 시장이 불황기(Bear market)에 접어들면서, 코인 가격이 폭락할 거라는 소식을 접했다.
그로 인해, 에센스 토큰이 제대로 평가받지 못할 것을 우려했다.
리더로서, 여러분이 이해하지 못하거나 동의하지 않은 기업 결정을 내린 것이다.
에센스에 더 많은 유틸리티를 적용하여, 앞으로 더욱 가치를 높혀 나갈 것이다.
다시 한 해가 흘렀고, (2023-12-23) 쉐인은 크리스마스를 앞두고 트윗을 통해 2가지를 약속합니다. 🔗
공식 어스2 백서는 2024년 1분기에 공개
비트코인 반감기(2024년 3월~5월)에 맞춰, 에센스(토큰) 상장 확정
에센스의 힘(Power)
안정적인 발행
에센스는 랜드에서 발생하는 에테르를 유저가 클레임하고 변환하여 얻게됩니다. 에센스의 발행 매커니즘은 랜드를 기반으로 이뤄지며, 매우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합니다.
따라서, 유저들에게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계획을 세우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합니다.
크레딧(E$)과 연동되는 시스템
2021-01-24. 어스2는 크레딧(E$)를 새로 만듭니다.
어스2에 달러(USD)를 입금하면, 고정환율(1 E$ = 1 USD)로 달러와 크레딧(E$) 교환이 이뤄집니다. 반대로 크레딧(E$)을 달러(USD)로 교환하여 출금할 수도 있습니다.
크레딧(E$)은 어스2의 '스테이블 코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외부 거래소에 상장되어 큰 변동성을 가지게 될 에센스 토큰과 안정적인 크레딧(E$)이 결합하여, 어스2 에코심(경제) 시스템을 보다 안정적으로 만들어 줄 것입니다.
에센스의 급격한 상승/하락과 무관하게, 크레딧으로 가격이 매겨진 어스2의 필수 아이템들은 안정적인 가격을 유지합니다.
이는, 신규 유저들에게 진입 장벽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하고, 기존 유저들에게는 경제적 이득을 제공하는 인센티브로 작용합니다.
다양한 유틸리티
에센스는 소각/스테이킹/투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다양한 유틸리티는 에센스의 내재가치를 상승시키고, 보다 안정적인 외부(시장)가격이 유지될 수 있는 원천이 됩니다.
P2E, 유저들을 위한 보상
대부분의 어스2 에코심(경제) 활동은, 에센스를 보상 받습니다. 이는 유저들이 활동에 참여하도록 동기부여를 제공하며, 이러한 적극적인 참여는 에코심(경제) 생태계를 유지하고 확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유저들은 어스2에서 협력하고 경쟁하며 강력한 커뮤니티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커뮤니티는 어스2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지원하고, 새로운 플레이어들을 유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에센스-타임라인
2021년
1/28 에센스 생성시작 (실제 오픈되지는 않음.)
4/17 에센스 오픈 연기
8/8 첫 에센스 생성
11/11 에센스 소각(쥬얼 업그레이드)
12/4 에센스 에어드롭(251,740,785)
2022년
4/23 어스2의 날(1회)
4/29 어스2의 날(1회) 에센스 지급(1차)
5/3~5/4 어스2의 날(1회) 에센스 지급(2차)
5/30 소숫점(2째자리) 업데이트
5/31 에센스 변환율 통일(6.5%)
7/14~10/17 에센스 스테이킹(1차 자원검증)
2023년
4/14 에센스 스테이킹(2차 자원검증-재오픈)
4/22 에센스 소수점(4째자리) 업데이트 🔗
4/23 어스2의 날(2회)
11/16 에센스 투표(T3랜드 오픈지역)
2024년
2/22 동결국 에어드롭
4/23 어스2의 날(3회)
5/30 에센스 토큰 인출시스템 오픈
6/1 에센스 토큰 첫 인출
6/25 랜드 업그레이드 기능 오픈
7/1 스킨(Skin) 구입 기능 오픈
8/4 멘타르 스테이킹 기능 오픈
8/15 임시 출금시스템 오픈: 에센스로 출금 대체
에센스-에어드롭
에어드롭은 2번(2021-12-04, 2024-02-22~23)에 걸쳐 진행되었습니다.
1차 에어드롭의 경우 어스2 전체 국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고, 2차 에어드롭의 경우 2/22에는 동결국만, 2/23에는 일부 동결국+섬국가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1차 에어드롭(2021년)
2021-12-04. 어스2 전세계 모든 랜드를 대상으로, 대규모 에센스 에어드롭(약 2.5억개)가 이루어졌으며, 20%는 즉시 지급되었고 80%는 프로퍼티에 저장되었습니다.
이 때, 프로퍼티에 저장된 80%의 에센스를 '약속받은 에센스'(EDC; Essence Distribution Commitment)라고 부릅니다.
당시 보상기준은 2021-12-04일자 NLP(신규랜드가격)이었습니다. '1 E$ = 1 에센스'로 에어드롭이 이루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이 경우, 2021-12-04 기준으로 랜드가격이 타일당 E$ 39.506 이었습니다. 100타일 프로퍼티를 가지고 있었다면, 에센스를 3,951개를 받았다는 의미입니다.
(이중 20%인 790 에센스는 즉시 지급받았고, 3,161개는 해당 프로퍼티에 저장되었습니다.)
초기 랜드를 구입해준 유저들을 위한 보상이며, 공정한 분배를 위해 모든 랜드에 동일한 원칙(NLP기준, 1 E$ = 1 에센스)이 적용되었습니다. 🔗
2차 에어드롭(2024년)
2024-02-22. 동결국을 대상으로 에어드롭이 이루어졌습니다.
에어드롭의 사유는 단순했지만, 보상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고 보상수준을 결정하는 과정이 상당히 복잡했다고 합니다.
"어스2는 영향을 받는 지역의 새로운 토지 판매 및 NLP(신규랜드가격) 상승에 대한 가장 현실적이고, 가능성 있고 실행 가능한 방식을 찾기 위해, 수많은 시나리오를 철저하게 탐색하는 데 상당한 시간과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일부 발췌) 🔗
동결국의 랜드 소유주들은 동결로 거의 1년간 랜드 판매가 이루어지지 않아 가격이 상승하지 못했고, 그로 인해 1차 에어드롭(2021-12-04)에서 손해를 보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즉, 1차 에어드롭은 2021-12-04일에 신규랜드가격(NLP)을 기준으로 보상하였는데, 동결국들은 1년 전 가격으로 보상을 받았다는 것입니다. (추가로, LIT도 받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문제는 NLP가 실제 1년간 얼마나 올랐을 지 가늠할 수 없다는 점이었고, 어스2는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검토하여 가장 가능성 높은 NLP를 설정하고 그 차이만큼 보상하였습니다.
에어드롭 첫 날에는, 100,000타일 이상이 팔린 국가(9개국)은 에어드롭을 받지 못했습니다.
2024-02-23. 이후 여러 유저들이 문제를 제기하였고, 다음날 동결국+섬국가들을 중심으로 2번째 동결국 에어드롭이 시행되었습니다.
해당 동결국들은 2/22에 받지 못했던 9개 국가도 포함되었습니다.
두번째 날, 에어드롭된 국가(23개국)들에 공통점이 있었는데, 당시 랜드가 200,000타일 정도가 팔렸고, 대부분이 섬국가(르완다, 에스와티니 제외)였다는 사실입니다.
총 에어드롭(2차) 에센스 추정량 : 62 ~ 77만 에센스
2/22
19개국(동결국) : 10만 ~ 14만
2/23
9개국(동결국)+23개국(섬국가) : 52만 ~ 63만
※ 자세한 산출내역은 기타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어스2의 날' 이벤트
지구의 날(4/22) 다음날인, 4/23일을 '어스2의 날'로 지정하고 매년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E24E1(Earth2 for Earth1; 어스1(지구)를 위한 어스2의 활동) 컨셉으로, 어스2가 현실 지구와 완전히 동떨어진 곳이 아니라, 상호작용하고 지구와 함께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매년 에테르(에센스)를 나눠주는 이벤트를 진행하며 '어스2의 날'을 기념하고 있습니다.
에테르'변환'율 3배
에테르발생율 5배
에테르발생율 3배
제1회(2022년)
에테르를 에센스로 변환할 때, 3배로 바꿔주는 이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어스2 공식 집계로 50만~70만 에센스가 추가로 제공되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첫 이벤트로 인해 시행착오가 있었고, 너무 많은 에센스가 특정 유저에게 제공되는 일도 벌어졌습니다.
특히, 에테르를 한동안 에센스로 변환하지 않고 모은 유저가 이벤트 당일 자신이 모아둔 에테르를 전부 에센스로 변환하여 엄청난 수익을 거둔 일이 있었습니다.
제2회(2023년)
1회 어스2의 날과 달리, 에테르 발생율(%)을 높혀주는 방식으로 변경하였습니다.
클레임 활동을 하는 유저들에게 골고루 지급되는 방식이었고, 또한 레이딩을 하는 유저들에게 상당한 혜택이 주어졌습니다. (레이딩 획득량 또한 5배가 늘었기 때문입니다.)
제3회(2024년)
2회 어스2의 날과 유사한 방식으로 진행되었고, T3와 부스트 기능으로 발생하는 에테르에는 발생율(%)이 추가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에테르 발생율(%)이 평소보다 3배가 나왔으며, 2회(5배)보다는 줄어든 수치입니다.
에센스 변환율(%)
클레임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과 레이딩을 통해 활동을 통해 얻은 에테르를 변환(Tramsform)하면, 미세한 변동을 가진 교환비율(6.5%)로 에센스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에센스가 처음 등장하고, 며칠동안 유저들의 데이터가 수집되었고, 최종 T1랜드의 에센스 변환율(%)이 68 %라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2021-12-05. T2랜드가 등장하면서, 다시 유저들의 데이터가 며칠동안 수집되었고, 최종 T1(EDC), T1(고갈), T2랜드별 에센스 변환율(%)을 확인하였습니다.
2022-02-08. T1(고갈)에서 변환율의 변동을 확인하였고, 5/30에 에센스 소숫점 업데이트가 있고 다음날부터 에센스 변환율(%)이 랜드 티어의 구분없이 6.5 %로 통일된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2024-04-01. 백서(WP)를 통해, 에테르 → 에센스 변환율(%)을 6.5%로 공식 발표하였습니다.
에센스 토큰 할당
65% - 랜드 채굴
클레임 또는 레이딩을 통해 랜드에서 탐지된 에테르를 변환한 에센스 채굴량입니다. 에테르가 채굴(클레임)되거나 레이딩되지 않고 사라지면, 다시 어스2 생태계로 들어가 재생성됩니다.
25% - 금고(Treasury)
어스2 팀에서 비지니스 등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에센스입니다. 금고(Treasury)는 어스2가 개발, 프로젝트 지원, 마케팅 및 홍보비용, 팀 할당량, 필요할 경우 거래소에서 요구할 수 있는 유동성 풀, 고문, MOD(커뮤니티 관리자 등)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필요에 활용할 중앙 다목적 지갑입니다.
이 토큰은 플레이어가 획득한 토큰과의 공생관계를 통해 점진적으로 잠금해제됩니다.
2024-08-15. 어스2 출금 시스템이 정상 작동되지 않아, 임시로 어스2팀에게 할당된 Treasury(금고)의 에센스 중 일부를 달러(USD) 대신 지급하기 시작하였습니다.
2024-07-21. 어스2 CEO 쉐인은, 디스코드 커뮤니티를 통해 이러한 '임시'정책을 발표하였으며, 발표되고 약 3주 후부터 시행된 것으로 보입니다. 🔗
2024-08-15. 어스2는 크레딧 출금 이슈가 발생하며, 시스템적으로 달러 출금이 어렵다는 점을 밝히며, 임시방편으로 자신들에게 할당된 에센스를 출금액만큼 대납하는 방식을 시행하였습니다.
어스2는 트라이얼(임시) 출금 방식으로 달러 대신, 에센스 토큰을 지급하였고, 시세에 맞춰 출금액(달러)만큼의 에센스 토큰을 계정에 배정하고, 개인지갑으로 인출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출금용으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소각/스테이킹 등 에센스의 유틸리티는 제한되었습니다.
10% - 보상과 P2E
보상 및 P2E를 위한 지갑은 어스2가 때때로 진행할 수 있는 P2E 활동, 어스2 플레이어 자원검증, 옐로우에너지 보상, 에어드롭, 후원 및 커뮤니티 보상을 제공하거나 프로젝트를 성장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타 활동을 위해 예약되어 있습니다.
에센스-반감기
활성화된 에센스[채굴 + 잠금해제]가 각각 5억, 7.5억, 그리고 8.75억 개에 도달하면, 설정된 반감기를 통해 에센스의 인플레이션이 억제됩니다.
각 반감기는 랜드에서 발생하는 에테르 발생율(%), 즉 채굴 가능한 에테르를 50%씩 감소시킵니다.
에센스-유틸리티
에센스는 Power(에너지, 투표권 등)이며, 어스2 에코심(경제) 매커니즘의 원동력입니다. 에센스에는 3가지 방식으로 유틸리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소각(Burn)
보통 토큰(코인)의 소각시스템은 [Burn Address]로 보내지고, 더이상 토큰이 빠져나오지 못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어스2내부에서 소각된 에센스가 토큰시스템에 곧바로 적용되지 않으며, 특정 기간에 걸쳐 정산하여, 어스2에서 소각 지갑주소(0x00...000)로 에센스를 이체하는 방식으로 이뤄집니다.
에센스 토큰은 다양한 소각처가 있으며, 유저는 에센스를 소각하는 대신 어스2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얻게 됩니다.
2024-04-01. 백서(WP)를 통해, 소각 매커니즘은 [50% 소각 : 50% 금고(Treasury)로 재분배] 되는 방식으로 확정되었습니다.
2021-09-08
EPL 구입
2021-11-11
쥬얼 품질 업그레이드
2023-03-10
싸이-드로이드 제작
2024-06-25
랜드 티어 업그레이드
(예정)
'탐사용 싸이-드로이드' 자원 채굴 부스트
(예정)
브로드캐스팅
EPL 구입
2021-09-08. EPL이 오픈되었고, 에센스의 1번째 소각처(사용처)입니다.
쥬얼 품질 업그레이드
2021-11-11. 쥬얼 업데이트(1차)에서 크래프팅 기능이 오픈되었고, 에센스의 2번째 소각처(사용처)입니다.
싸이-드로이드 제작
2023-03-10. 싸이-드로이드가 출시되었고, 에센스의 3번째 소각처(사용처)입니다.
랜드 티어 업그레이드
랜드 티어 업그레이드 비용은 에센스로 지불한다는 정책을 꾸준히 유지하였으며,🔗 에센스 외부(시장)가격을 반영하여, (T3 → T2 → T1)으로 랜드 티어를 업그레이드 하는 과정에서 티어간 신규 랜드가격(NLP; New Land Price) 차이만큼 에센스 비용이 조정됩니다.
예를 들어, T2 → T1 랜드 티어 업그레이드를 하려면, T1/T2의 신규 랜드가격(NLP)를 비교하여 타일당 E$ 9만큼의 가치를 갖는 에센스가 소모됩니다.
10타일이면 90에센스가 소모될 것이고, 100타일이면 900에센스가 소모될 것입니다.
그리고 랜드 업그레이드가 된 T1랜드는 랜드 가격에 영향을 주어, T1랜드의 신규 랜드가격(NLP)를 높이고, 뒤늦게 업그레이드한 유저는 더 많은 에센스를 소모해야 합니다.
또한, 에센스 가격이 E$ 1 → 5로 급격하게 상승하면, 필요한 에센스 수량은 1/5이 될 것입니다.
랜드 티어 업그레이드의 자세한 사항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탐사용 싸이-드로이드' 자원 채굴 부스트 (예정) 🔗
탐사용 싸이-드로이드가 재충전하는 동안, 싸이-드로이드 전지에 에센스를 직접 주입(inject)하여 자원 채굴을 부스트할 수 있습니다.
브로드캐스팅 전지 충전 (예정)
방송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에센스로 구동되는 전지가 필요합니다. 에센스를 소각하여 전원이 공급되면, 방송 장치에는 효율성(Efficiency) 레벨마다 설정된 비율에 따라 추가적인 에센스가 필요할 것입니다.
에센스는 전송된 광고에서 발생하는 법정화폐 기준의 이익에 따라서만 소모됩니다.
예를 들어, D1으로 제작된 방송장치는 소모된 (에센스)에 대해 25% 보너스를 얻을 수 있습니다.
즉, $1.00 상당의 에센스가 소모되면, 최소 $1.25의 광고 수익을 얻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소유자는 $1.25의 인출 가능한 크레딧을 받게 되는 것입니다. D9(으로 제작된) 방송 장치는 소비된 에센스의 가치에 대해 200% (보너스를) 받게 됩니다.
스테이킹(staking)
보통 토큰(코인)의 스테이킹 시스템은 스마트 컨트랙트로 타임락을 걸어 스테이킹 전용 [Staking Address]로 보내지고, 타임락이 풀리면 (토큰 보상과 함께) 원래의 지갑주소로 되돌아가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어스2의 에센스토큰 스테이킹은 어스2 플랫폼 내부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전자지갑 상에 타임락이 걸리는 그런 방식은 아닙니다.
어스2는 다양한 스테이킹 사용처가 있으며, 어스2가 제공하는 기능을 스테이킹하는 동안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검증에 참여하면 '성공 인센티브'를 받거나 실패 패널티'를 받을 수 있습니다.
2022-07-14
자원 검증
2024-02-23
콘텐츠 검증
2023-03-10
싸이-드로이드 전지 충전
2023-11-15
투표(T3랜드)
2024-08-04
멘타르 스테이킹
자원 검증
자원을 조사하고 해당 위치에 자원이 있다는 청구를 합니다. 여러 유저들은 청구서를 확인하고 일정량의 에센스를 스테이킹하여 검증에 참여합니다.
CAT(팀)에서 최종 승인이 나면, 에센스를 스테이킹한 유저들은 에센스를 돌려받는데, 6.5%의 추가 에센스를 보상으로 받게 됩니다.
반대로, 거절되면, 20%를 손해보고 80%만 돌려 받는 시스템입니다.
자원검증에 참여한 유저가 에센스를 스테이킹할 때, 타임락(시간조건)이 아닌 미션을 완료하는 조건으로 락업이 걸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콘텐츠 검증
크리에이터가 직접 자신이 제작한 어스2 관련 콘텐츠를 제출하고, 여러 유저들은 제출된 콘텐츠를 확인하고 정해진 에센스 수량만큼 스테이킹하여 검증에 참여합니다.
검증팀에서 최종 승인이 나면, 에센스를 스테이킹한 유저들은 에센스를 돌려받는데, 최대 10%까지 추가 에센스를 보상으로 받게 됩니다.
반대로, 거절되면, 최대 20%까지 손해보고 최소 80%만 돌려 받는 방식입니다.
50미만
1%
50~149
2%
150~299
3%
300~
4%
콘텐츠 클레임을 한 유저가 YE를 받을 때, YE개수에 따라 에센스 스테이킹 보상율(%)이 증가합니다.
※ 해당 자료는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될 예정입니다.
전지 충전
5에센스를 가지고, Micro 전지에 스테이킹하면 전원이 켜지며 전지가 활성화됩니다. 이후, 전지의 전원을 끄고 5에센스를 되가져갈 수 있습니다. (보상은 없습니다.)
전지는 총 6가지가 공개되었으며, 전지의 종류/용량 등에 따라 스테이킹되는 에센스의 개수도 달라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싸이-드로이드 등 전지에 에센스를 스테이킹하여 전지를 활성화 시키고, 유저 스스로가 언제든 전지를 비활성화시켜 스테이킹된 에센스를 회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유동적 스테이킹(Liquid Staking)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투표(voting)
영토(T3랜드) 오픈지역 선정하는 투표에 에센스를 스테이킹하여 참여할 수 있습니다. T3랜드가 선정되고 최종 오픈할 때까지, 며칠 또는 길게는 몇 달동안 묶이게 됩니다. (락업; Lock-up)
자신이 투표한 지역이 선정되어 최종 T3랜드가 오픈하면, 자동으로 자신의 어스2내부 지갑으로 되돌아 옵니다. (직접적인 보상은 없습니다.)
에센스를 투표하면, 최종 T3랜드가 오픈될 때까지 묶이게 되며, 오픈하면 즉시 원래의 (어스2 내부)지갑으로 에센스는 되돌아 갑니다.
멘타르(Mentar) 스테이킹
작동원리
"멘타르 내부(에 스테이킹된) 에센스의 중심부로 유인된 생물과 괴물들은 프로퍼티 소유주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희생합니다.
그들이 멘타르에 도착하면, '소멸 과정'(process of dissolution)을 시작하며, 자신의 생명을 소멸시켜 에테르를 만들어 냅니다.
이는 멘타르에 의해 흡수되어, 프로퍼티소유주가 클레임할 수 있습니다."
멘타르에 에센스를 스테이킹하여, 추가 에테르를 획득할 수 있습니다. 0.4%(최소) ~ 158%(최대)의 에센스를 스테이킹한 보상으로, 에테르를 추가로얻을 수 있습니다.
영향인자
랜드 티어
티어가 높을수록, 에센스 보상비율(%)이 높아집니다.
랜드 크기 (스테이킹 에센스량)
1타일당 최대 2에센스를 스테이킹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랜드 크기가 클수록(에센스가 많이 투입될수록) 높은 에센스 보상비율(%)을 가집니다.
스테이킹 기간 (10일/30일/60일/90일)
스테이킹하는 기간이 길수록, 더 높은 에센스 보상비율(%)을 가집니다.
추가 에센스 비율(%)
해당 표의 수치는 투입된 에센스 대비 추가 획득되는 에센스의 비율(90일 기준) 입니다.
예를 들어, T2랜드( 750타일)에 에센스를 90일 동안 스테이킹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스테이킹으로 사용된 에센스 대비, 추가 발생되는 에센스를 계산한 결과, 연간 10% 추가 수익을 얻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한 에센스 : 1,500 ESS (최대치)
추가되는 에센스 : 37 ESS (90일간) → 150 ESS (1년 환산)
스테이킹 기간이 길수록 에테르의 1일 발생량이 많아집니다. 10일보다 90일 기간으로 스테이킹한 경우, 약 18배 더 많은 에테르를 추가로 획득할 수 있습니다.
10일
0.0702
1 (기준)
30일
0.2950
4.2 배
60일
0.6743
9.6 배
90일
1.2644
18.0 배
주의사항
멘타르 스테이킹은 개별 프로퍼티마다 설정할 수 없습니다.
랜드 타일수 그룹별로 100타일 이상일 경우에만, 해당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거래(trade)
유저들이 어스2팀이 만든 스킨을 구입하는 경우, 소모된 에센스는 소각되는 것이 아니라, 어스2금고(Treasury)로 이동합니다. 🔗
에센스 소각과 스테이킹 방식과는 완전히 다른 방식이며, 향후 유저와 유저간에도 아이템을 거래할 때 에센스로 사고팔 수 있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경우 에센스가 계정간 이동이 일어날 거라 예상됩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에센스가 어스2에서 중요한 거래의 매개체('게임머니')로서의 유틸리티를 가질 것입니다.
어스2는 다양한 거래(방식) 사용처가 있으며, 앞으로 계속해서확대될 것입니다.
2024-07-01
스킨(Skin) 구매
스킨(Skin) 구매
2024-07-01. 스킨(Skin)을 에센스 토큰으로 구입할 수 있는 기능이 오픈되었습니다.
에센스 가격의 강제조정(Overriding) 정책에 따라, 실제 거래가격(당시, 1 ESS = 0.08 $)보다 2배 가까이 평가 절상된 (1 ESS = 0.15 $)로 구입할 수 있었습니다.
강제 조정된 어스2 내부에서 사용되는 에센스 가격은 적용되는 시점마다 달라질 수 있습니다.
에센스 강제 조정에 대한 참고자료
[번역] "반대로, 에센스가 특정가격 아래로 떨어지면, 에센스 문턱 비율을 강제로 높혀, 무역을 활성화시키고, (더 많은 빌딩이나 오브젝트를) 만들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전체 (어스2)경제를 활성화시킬 것입니다."
당시 Override(강제조정)에 대한 구체적인 예시나 설명을 하지 않았지만, 실제 외부 거래가격보다 높은 가격으로 어스2 내부에서 에센스를 사용할 수 있을 거라 많은 유저들이 예상했습니다.
스킨 구입방식이 첫 선을 보이면서, 외부 거래가격보다 2배 높은 가격으로 어스2 내부에서 스킨을 구입하는데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강제조정 정책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 지, 정확히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에센스-간접 거래
어스2 내부에서 바자르를 통해 아이템을 거래하는 과정에서, 간접적으로 에센스가 거래됩니다.
쥬얼을 통한 거래
쥬얼의 품질(Quality) 향상에는 에센스가 소모됩니다. 바자르에서 쥬얼이 판매되어 시장가격이 조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격 차이만큼 간접적으로 에센스가 거래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T1 (블루) Clear 쥬얼을 Luminous 쥬얼로 품질 업그레이드를 합니다. 바자르에서, Clear 쥬얼은 E$ 1에 거래되고, Luminous 쥬얼은 E$ 3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품질 업그레이드를 하는데 12에센스가 소모되었다면, 에센스 1개당 대략 E$ 0.17에 거래가 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단순히 품질 향상에 사용된 에센스 비용이 온전히 가격에 반영되었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예를 들어, 경우 Brilliant 쥬얼을 만드는 과정에서 엄청난 Luminous 쥬얼이 나오게 되는데, 공급이 과잉되면서 가격이 상당히 절하되기도 합니다.
싸이-드로이드를 통한 거래
싸이-드로이드를 바자르(Bazaar)에서 거래할 때, 전지가 완충된 상태에서만 매매가 가능합니다. 제작으로 이미 소각된 2.5에센스와 더불어, 전지에 충전(스테이킹)된 5에센스도 함께 거래됩니다.
따라서, 만약 1대의 싸이-드로이드가 E$ 1에 거래된다면, 1에센스당 E$ 0.13에 거래가 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거래가격 산출에서 직접비용(7.5에센스) 뿐만 아니라, 싸이-드로이드를 보관하는데 필요한 4타일 크기 이상의 랜드가격(간접비용)도 포함되어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즉, 싸이-드로이드를 매입하려면, 테더링에 여유가 있는 멘타르(또는 씨드)가 필요합니다. 없다면, 랜드를 구입하여 테더링에 여유가 있는 멘타르(또는 씨드)를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Last updated